본문 바로가기
성인 의사소통 장애 및 치료/언어치료 이슈브리프

성인 언어치료 이슈 브리프 제 4호 (2022.9월)

by 루씨유 2022. 9. 15.

성인언어치료 이슈브리프-제4호(2022.9)-confirmed.pdf
0.44MB

△ Free Download

 

 

안녕하세요, 프롬루씨 대표 루씨유입니다.

성인 언어치료 이슈 브리프 4호로 인사드립니다.

 

「성인 언어치료 이슈 브리프」는 전 세계 언어치료 동향을 한 눈에 보기 위한 목적으로 매달 제작됩니다. 이를 통해 국내 언어치료기관과 개별 언어치료사들이 언어치료 서비스와 치료의 방향성을 잡고, 임상과 연구의 균형을 이루도록 돕고자 합니다.

 

이번 호의 국내 이슈 파트에서는 언어재활사 국가시험 응시자격 논란에 대한 협회와 복지부 간 논란의 내용을 살펴볼 수 있습니다. 복지부 입장에서는 학점제를 적용하는 타 국가시험과 언어재활사 국가시험을 동일하게 취급할 수도 있겠지만, 언어치료는 주로 개인에게 일대일로 직접 중재가 들어가는 세심한 기술이 필요하여 실습의 중요도가 확연히 다르다고 할 수 있습니다. 한편, 국가시험 문항 개발 출제 거부로 올해 자격시험에 응시 예정인 학생들에게 피해가 갈 것 또한 염려가 됩니다. 추이를 지켜보며 다음 호에서 진행 상황을 게재하도록 하겠습니다.

 

그 외 대구 달서구 지역의 치매안심센터 운영상황과 간편검사를 활용한 언어치료를 모바일 플랫폼으로 서비스하게 될 기술 혁신의 사례도 만날 수 있습니다.

 

 

해외 이슈 파트에서는 알츠하이머협회 국제컨퍼런스 2022 하이라이트노인의 코로나19 관련 인지기능 문제와 그에 대한 치료법을 다룹니다. 두 기사 모두 코로나19와 인지기능·치매와의 관계에 대해 강조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국제적 변화를 빨리 직시하여, 언어치료가 새로운 코로나 환자군에게 효과적인 치료법이 되도록 연구개발이 진행되어야 할 것입니다.

 

 

연구 동향 파트에서는 해외 이슈를 확장하여, 일상생활형 인지언어 훈련 프로그램, 실어증 원격 재활 그룹 치료 프로그램 효과성에 대한 연구 결과를 소개합니다. 각자의 임상 현장에 활용할 수 있도록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실제 진행 과정을 함께 수록하였습니다.

 

 

행사 및 교육 일정 파트에서는 가을을 맞아 대한치매학회,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한국언어치료학회 등 학회 보수교육 및 학술대회 일정이 공지되었습니다. 본인에게 필요한 프로그램이 있는지 살펴보고, 역량개발을 위해 관심을 가지고 참여하길 바랍니다.

 

금번 이슈 브리프에서는 언어재활사가 개척해야 할 분야가 아직 많다는 사실을 알 수 있습니다. 국내 이슈에서 다룬 치매안심센터는 언어재활사가 활동할 수 있는 분야로 예상되나, 서울 내 치매안심센터 조직도 현황을 살펴본 결과, 간호사, 사회복지사, 작업치료사, 미술치료사, 운동처방사가 근무하지만, 언어재활사는 근무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됩니다. 언어재활사도 '치매' 영역에 전문적으로 기여할 수 있는 부분이 많으며, 인지재활 프로그램, 치매가족 자조모임 등에서 언어재활적 접근으로 프로그램 개발 및 중재가 충분히 가능합니다. 개척이 필요한 분야입니다.

또한 해외 이슈 및 연구 동향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코로나 관련 인지언어 기능장애에 대한 문제가 보고 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연구와 치료법에 대한 관심이 해외에서는 더 높은 것을 볼 수 있습니다. 국내에서도 포스트 코로나 성인 언어치료의 대상을 찾고, 치료법을 다각화 하는데 발 빠르게 움직여야 할 것입니다.

 

다행히도 한국언어치료학회에서 11월에 '코로나 이후, 비대면 시대의 원격 언어재활 방향 모색'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하니, 관련 정보를 습득하고, 진행되는 논의에 관심을 가져 각자의 임상 현장에서 적용할 사항을 발견하고 시행해야 하겠습니다.

 

국가시험 응시 자격 기준 준수와 이행으로 언어재활사의 위상을 확보하는 것은 중요합니다. 하지만 지금은 사회 각 곳에 언어재활사가 기여할 수 있는 분야를 개척하고, 기업 및 유관기관과 연계하여 사업화시켜 나가며, 각 언어재활사의 역량 강화를 위해 협회 및 교육 기관 차원에서 지원하고, 대학 및 학회 차원에서의 언어재활사 활동의 효과성 및 근거 연구가 뒷받침되고 또 개발되는 통합적인 협력이 더욱 필요한 때라는 점을 기억해야 합니다. 지킬 건 지키되, 협력할만한 것, 즉 기회를 서로에게서 찾는 일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것입니다. 이슈 브리프는 국내외 이슈를 선별 제공하여, 통합적인 협력을 위한 환경을 만들어 나갈 것입니다.

 

이슈 브리프를 읽는 동안 재밌고 유익한 시간 되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프롬루씨 대표, 루씨유

 

 

** 자세한 내용은 상단의 <성인언어치료 이슈브리프 제4호> PDF 파일을 확인해주세요.

 

 

 

 

댓글